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주요품목별전략

>  농정 >  농가소득100%증진 > 주요품목별전략

현황・전망

충주시 현황 및 전망
  • 생산량 : 약 24천톤(4,770ha)
  • 소비량 : 관내 55% (13천톤), 관외 45% (11천톤)
  • 미소진쌀 판매가격 : 여주‧이천쌀의 80% 수준

기본전략

품질 고급화 : 미소진 쌀 목표 판매가 - 60천원/20kg

생산농가 조직화
  • 들녘단위 공동생산조직 육성 : 품종선정, 영농기술, 품질관리, 기계화 등 공동영농 조직화 (GAP 공동인증 연계)
  • 생산비용 절감 : 품질 고급화 재배단지 조직 및 영농기술 혁신
  • 조합공동법인(조공법인) 역량 강화 : 조공법인 중심의 판매‧마케팅 역량 집중

정책지원

  • 패키지형 정책지원 : 생산(품종선택, 파종, 이양, 영농, 수확 등), 상품화(건조, 저장, 선별, 포장 등), 판매‧마케팅에 이르는 전 과정의 연계‧일원화 정책지원 체계 구축 (농식품부 정책 방향에 부합)
  • 공동재배단지(들녘단위) 우선 집중 지원

* 기존의 개별농가 지원은 단계적으로 축소 (또는 자격요건 강화)
* 농식품부 들녘단위 경영체 육성사업 활용

사과・복숭아

현황・전망

수급전망

한중FTA 제외 및 소비자 선호 유지 전망

충주시 전망
  • 귀농인구 약 60%가 사과 및 복숭아 재배 선호 ⇒ 적합한 재배지역 및 면적 확보 필요
  • 사과 : 과원 현대화사업 부진 및 기후 온난화 등으로 품질 및 생산성이 취약한 실정으로 대책 마련 필요
  • 복숭아는 과도한 밀식재배로 인한 품질 저하로 대책 마련 요구

기본전략

사과 – 과원현대화사업
  • 농가별 여건에 적합한 연차별 과원현대화사업 정책지원
  • 농식품부 FTA기금사업 활용 및 지자체 차원 현대화사업 지원 확대
  • 재배 적합지(기후, 토양, 고도 등) 선정하여 과원 이전 및 귀농인구 신규 조성 권장
복숭아 – 과도한 밀식재배 과원 영농구조 조정
  • 가공산업 육성
    • 사과 비품 활용 가공산업 활성화 : 기존 가공업체 협력 유도로 품질기준 수립 및 브랜드 상품화 추진 ⇒ 기존 가공업체 시설현대화, 6차산업화 등 지원
    • 복숭아 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상품개발 및 가공업체 육성
  • 생산농가 조직화와 연계한 정책 지원요건 강화
    • 조공법인 통합마케팅과 연계한 생산조직 참여 농가에 정책 우선 지원
    • 영농기술교육과 연계한 농가 조직화 추진
    • 정책지원 대상 농가의 경영계획 등 심의요건 강화
  • 신품종 개발
    • 소비자 선호 변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사과 신품종 개발 추진

정책지원

농가 조직화와 연계한 패키지 형태 정책 지원
  • 과원 현대화사업지원 & 영농지원(기계화, 영농자재, 기술교육) & 농가조직화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정책 지원
조합공동법인(조공법인) 등 통합마케팅조직 육성
  • 통합마케팅조직이 조직화 농가의 생산 전량 취급
  • 조공법인 마케팅 역량강화 지원

시설원예작물

전국지도 : 충주 접근성- 사통 팔달 교통의 요지

현황・전망

수급전망
  • 주산지 간 경쟁 확대로 생산성 및 품질 향상
  • 농업 인구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기술력 향상으로 공급 약간 증가 전망
  • 건강 및 신선도 중시하는 신세대 소비 성향에 따라 수요 증가 전망
충주시 현황 및 전망
  • 타 주산지에 비해 규모화 역량 미흡
  • 서울 동남부 그린벨트 지역의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한 생산면적 감소 및 사통팔달 우수한 교통 및 물류 여건의 장점을 활용, 충주시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
    •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충주~구미~창원) : 남북으로 관통
    • 동서고속도로(평택 안중~충주~삼척) : 동서로 관통
    • 서울 동남부 및 수도권 : 70분
    • 경기 중동부 산업화 지역 : 60분

기본전략

수도권 근교농업의 변화 동향 파악 및 판매처 확보 병행 추진
  • 대규모 쌈채소류, 엽채류 생산지역 이동 현황 파악 후 가락시장 도매법인 및 식자재 업체 등 판매처 확보 추진
  • 판매처 요구에 적합한 품목, 출하시기, 품질 등 맞춤형 재배 기술 확보
경쟁력 확보전략
  • 하우스 시설 현대화 : 연동형 하우스(엽채류, 토마토 등), 고설재배(딸기) 등
  • 재배 단지화 : 하우스 시설재배 단지화를 통해 영농기술 표준화, 물류 효율화, 규모화된 산지유통 역량 강화 추진
통합마케팅 체계 활성화 및 조직 육성
  • 통합마케팅조직 – 참여조직 - 생산농가조직화의 계열화 추진
  • 재배단지별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참여농가 및 재배면적 확대
6차 산업과 연계한 전략적 마케팅 추진
  • 서울 및 경기도 동부지역과의 접근성을 활용, 하우스 원예작물 방문체험농장 운영 확대
  • 친환경 엽채류의 경쟁력 기반을 활용한 충주시 샐러드산업 육성

* 규모화 생산유통과 연계한 쌈채소 체험과 샐러드 음식문화 육성

정책지원

생산농가 조직화 및 통합마케팅 연계형 정책 지원
  • 선 조직화, 후 정책지원 : 통합마케팅조직을 통한 출하와 농가조직에 참여한 조직 또는 농가 중심으로 정책 지원
  • 조직화에 참여한 농가들에 대해 시설 현대화 및 영농지원을 패키지 형태로 운영 (기계화, 영농자재, 교육 지원 등)
통합마케팅조직 육성
  • 통합마케팅조직의 경쟁력 강화 지원 : 마케팅, 컨설팅, 물류 등
  • 통합마케팅조직에 참여한 조직에 대해 상품화 시설 및 상품화 비용 지원

축산

현황・전망

경제발전에 따른 육류 소비 증가 및 충주를 찾는 관광객에 의한 축산물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기본전략

  • 충주청정한우를 전략 축종으로 육성 및 사료 자급화
  • 구제역 · AI 등 가축전염병 발생 사전예방으로 청정축산 구축

정책지원

충주청정한우 1등급 더 받기 추진
  • 충주청정한우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사양관리 개선 및 고품질 축산물 생산을 위한 전용 TMR 사료 개발
  • 2014년 우리시 도축두수 대비 1등급 이상 출현율으 68%로, 향후 80% 까지 1등급 이상 출현율 견인 (2014년 도축 6,398두 중 1등급 이상 4,350두)
  • 소 도체등급 1등급 상향시, 지육 기준 평균단가 2,000원(kg당) 상승하므로 출하 소 1두당(도체중 420kg) 평균 80~120만원의 추가 소득 기대

추진방안

고품질 친환경 축산물 생산 지원 확대

친환경, 무항생제, HACCP 인증을 위해 필요한 시설 및 장비 등 지원

고급육 생산 전용 사료첨가제 및 고급육 출하장려금 지원 확대
  • 충주청정한우 브랜드기반 육성을 위한 인공수정료, 혈통 등록료, 선형 심사료 등 지원 확대
  • 축산농가 의식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 강화

산림분야

현황・전망

  • 공급 : 재배 및 수확 후 관리기술 발전으로 인해 주산지간 경쟁 심화
  • 수요 : 정체 또는 약간 증가 전망

기본전략

  • 산지유통조직 마케팅 경쟁력 강화 및 생산농가 조직화
    • 산지유통조직(산림조합)의 경쟁력 강화 추진
    • 생산농가 조직화 (전속계약재배출하회) 육성
  • 임산물 가공품 개발 및 육성, 농촌체험과 연계

정책지원

유통조직 역량강화와 생산농가조직화 연계지원
  • 산림조합과 농가조직 육성을 연계 지원
  • 조직화 참여농가 지원 : 밤수확망 등 생산비 절감 및 품질 향상 시책 우선 지원

고구마

현황・전망

수급전망
  • 공급 :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어 공급량 증가
    • * 주산지 : 해남, 영암, 고창, 무안, 익산, 이천 등
    • * 타 작물 대비 수익성 유지, 농업인력 부족에 대응 가능한 작물
충주시 현황 및 전망
  • 물류, 토질 면에서 여주, 이천 대비 강점
  • 생산자 조직화 및 산지유통을 주도할 수 있는 조직 취약
  • 산척면 중심으로 약 40억원 생산 (생산 농가 중심 법인 운영)
    • * 육묘사업 경쟁력 우수

기본전략

농식품부 “밭식량작물 공동경영체” 정책지원사업 참여

종순생산부터 영농, 수확, 출하, 상품화, 마케팅 등 전과정 패키지 형태 지원

산지유통조직과 생산농가 조직화 연계 육성
  • 역량을 갖춘 마케팅조직(지역농협 등)육성 ⇒ 소수 농가중심의 영세 영농조합법인의 한계 극복
  • 생산규모 : 향후 5년 이내 150억원 규모화 경쟁력 확보
  • 영농기술 혁신 : 무병묘 증식 역량 확보, 재배기술 혁신, 영농 기계화
  • 산지유통시설 확보 : 큐어링, 세척, 저온저장, 선별, 포장 시설
가공사업 역량 확보

비품처리(25%) 가공시설 확보 (6차 산업화 연계)

정책지원

산지유통조직과 농가조직화를 연계하여 정책 지원
  • 전속계약재배 출하회 조직 결성 (농가 조직화)
  • 참여농가 및 유통조직에 패키지 형태의 마케팅, 유통시설, 영농기술 지원 (영농기계화 등)
  • 농가조직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잡곡

현황・전망

수급전망
  • 수요 : 건강·웰빙에 대한 관심증가로 소비 증가 (수입산 잡곡 상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 공급
    • 콩, 옥수수를 제외한 품목 생산 불안정 : 기장, 수수, 팥 등
    • 쌀 주산지역의 대체작물로 대규모 재배단지 조성 추진 중 (논 농사 대체 또는 2기작 작물로 면적 확대)
충주시 전망

기존 생산 및 유통기반 토대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경우, 발전 잠재력 있음

기본전략

농식품부 “밭식량작물 공동경영체” 정책지원사업 참여

파종부터 영농, 수확, 출하, 상품화, 마케팅 등 전과정 패키지 형태 지원

산지유통조직과 생산농가 조직화의 연계 육성
  • 역량을 갖춘 마케팅조직(지역농협 등) 육성(소수 농가중심의 영세 영농조합법인의 한계 극복)과 농가조직화 육성의 연계 추진
  • 영농기술혁신 : 영농기계화, 품질 향상 기술 교육 등
  • 산지유통시설 : 상품화 및 저장시설 구축

정책지원

산지유통조직과 조직화 참여농가 연계 지원
  • 농가조직화 : 전속계약재배 출하회 조직 육성
  • 참여농가에 대해 패키지형태의 영농지원 (영농 기계화 등)

버섯

현황・전망

수급전망
  • 2020년까지 수요와 공급 약간 증가 전망
  • 생산시설 현대화, 기술혁신 등으로 공급 증가 전망
충주시 현황 및 전망
  • 2016년 버섯종균배양센터 완공
  • 농가 수는 소수이나 기술 경쟁력 우수한 편

기본전략

버섯종균배양센터 역할 활성화
  • 안정적인 종균 공급으로 신규 버섯 재배농가 경쟁력 강화
  • 버섯종균배양센터를 통해 우량종균 확보
경쟁력 강화
  • 농가 중심의 유통조직 결성을 통해 유통부문 경쟁력 강화 추진
  • 생산 및 유통비용 절감을 위한 정책 지원

정책지원

  • 생산과 유통을 연계한 종합지원 체계 구축
  • 영농기술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

품목별 정책사업 추진목록

품목별 정책사업 추진목록에 대한 표이며, 연번, 사업명, 대상품목, 사업구분, 재원조달방법-%(국비, 도비, 시비, 자담), 연차별 투자금액-백만원(총계, 2015, 2016, 2017년 이후)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
연번 사 업 명 대상품목 사업구분 재원조달 방법 (%) 연차별 투자금액 (백만원)
국비 도비 시비 자담 총계 2015 2016 2017년 이후
29개 사업 175,209 8,443 15,176 151,590
1 농가소득100%증진 아카데미운영 신규 자체 100 30 10 20
2 6차산업화 지구조성사업 사과, 복숭아, 토마토, 쌈채 신규 국비 50 15 35 3,000 900 2,100
3 통합마케팅조직 활성화 및 참여농가 지원 확대 국도비 25 9 18 48 15,170 760 2,390 12,020,
4 농특산물 직거래 활성화 사업 확대 국도비 0.4 6 93.6 2,786 576 240 1,970
5 충주쌀 명품화 계약재배 지원 미소진쌀 확대 자체 100 5,215 235 260 4,720
6 밭 식량작물산업 육성사업 고구마, 옥수수 신규 국비 30 25 25 20 2,000 2,000
7 과실전문생산단지 기반조성사업 사과, 복숭아 확대 국비 80 6 14 9,166 391 975 7,800
8 고품질 과수단지 조성사업 사과, 복숭아 확대 도비 0 21 49 30 10,000 400 600 9,000
9 과수고품질 시설현대화 지원사업 사과, 복숭아, 배 확대 국비 20 9 21 50 10,000 1,000 1,000 8,000
10 시설하우스(단동)신축지원 (①맟춤형원예생산시설지원 ②시설원예 농가지원) 쌈채, 토마토, 딸기, 수박 확대 도비 15 35 50 40,000 620 2,560 36,820
확대 자체 50 50 35,300 320 2,160 32,820
11 조사료 전문단지 조성사업 신규 국비 30 9 21 40 4,820 420 4,400
12 TMR(완전배합) 사료 가공시설 지원사업 확대 국비 30 9 21 40 6,200 3,000 3,200
13 청정한우 품질 고급화 사업(1등급 더 받기) 확대 시비 100 2,888 48 280 2,560
14 농장 출입구 자동소독기 지원사업 확대 국비 15 35 50 576 48 56 472
15 남한강 어류생태체험관 건립 신규 국비 80 6 14 15,030 30 15,000
16 수산종묘 매입 방류사업 붕어, 쏘가리, 뱀장어 등 확대 국비 25 5 68 2 1,842 92 150 1,600
17 양식자 HACCP 인증 확대 확대 국비 50 50 249 49 200
18 친환경 임산물(밤) 영농자재 지원사업 확대 자체 50 50 724 40 44 640
19 농업인대학 운영 확대 국비 30 10 60 960 70 90 800
20 귀농귀촌 정착교육 운영 확대 국비 17 83 498 48 50 400
21 고구마 명품화를 위한 거점단지 조성 확대 국비 17 50 33 600 100 100 400
22 건강기능성 웰빙 특수작목 생산 시범단지 조성 당뇨기능성 작물 (에어하우스) 신규 국비 50 50 5,300 300 2,500 2,500
23 제3농업기계 임대사업장 신축사업 확대 국비 50 15 35 1,000 1,000
24 사과 무병묘목 접수포 조성·공급사업 신규 국비 50 50 295 40 15 240
25 사과 국내 육성 신품종 보급사업 신규 국비 50 50 440 200 200 40
26 복숭아 수형 및 재배환경 개선 시범사업 확대 자체 68 32 160 25 27 108
27 복숭아 2본지주 개심자 연형 모델과원 조성 확대 자체 60 40 180 30 30 120
28 친환경 자가농자재(EM) 활용보급 현장교육 확대 자체 100 290 25 25 240
29 농촌사랑-농촌체험 관광행사 운영 확대 자체 7 93 490 45 45 400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농정과 김태훈
  • 전화번호 043-850-5741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