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지진

>  재난/안전 >  자연재난 > 지진

지진이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진 이렇게 대비합시다.

  • 천장이나 높은 곳의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을 치우고, 머리맡에는 깨지기 쉽거나 무거운 물품을 두지 맙시다.
  • 가스ㆍ전기ㆍ수도를 차단하는 방법을 미리 익혀둡시다.
  • 비상시 서로 헤어질 것을 대비하여 다시 모일 수 있는 장소를 미리 정하고 모일 장소를 익혀둡시다.
  • 집 주위에 대피할 수 있는 공터, 학교, 공원 등도 미리 알아둡시다.
  • 비상시 사용할 약품ㆍ비품ㆍ장비ㆍ식품의 위치와 사용법을 알아 두고 비상시 가족들이 취해야 할 사항과 역할을 미리 정해 둡시다.

지진 발생 전인가요?

  • 지진발생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집안의 가구 등을 정리합시다.
  • 전기배선, 가스 등을 점검하고 불안전한 부분을 수리합시다.
  • 전열기, 가스기구 등을 단단히 고정합시다.
  • 크고 무거운 물건을 선반에 올려두지 않도록 하고, 선반은 벽에 단단히 고정시킵시다.
  • 깨지기 쉬운 유리그릇 등은 잠글 수 있는 캐비닛 등에 보관합시다.
  • 균열음, 진동 등 물건이 무너질 조짐이 있거나 균열이 진행되고 잇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는 전문가에 문의합시다.
  • 전기ㆍ가스ㆍ수도의 차단장치 위치와 조작방법을 숙지합시다.
  • 가족과 함께 지진에 대비한 훈련을 미리 해둡시다.
  • 실내의 단단한 탁자 아래, 내력벽 사이 작은 공간 등 안전한 위치를 파악해둡시다.
  • 지진이 발생한 경우 모든 가족은 위험한 장소를 피하여 안전한 장소로 대비합시다.
  • 비상 물자를 준비하여야 하며, 집 주변의 대피장소(공터, 학교, 공원 등)를 미리 알아둡시다.

지진 발생 중인가요?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ㆍ가로등ㆍ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 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헐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잇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 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지진이 멈추었나요?

  • 여진은 지진보다 진동은 작지만 지진에 의하여 취약해진 건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여진에 철저히 대비하여야 합니다.
  • 부상자를 살펴보고 즉시 구조를 요청하여야 하며 부상자가 위치한 곳이 위험하지 않다면 부상자를 그 자리에 그대로 두어야 하고, 만약 부상자를 옮겨야만 한다면 먼저 기도를 확보하고 머리와 부상부위를 고정 시킨 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 의식을 잃은 부상자에게는 물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 만약 부상자의 호흡과 심장이 모두 또는 호흡이나 심장이 멈춘 경우 신속하고 조심스럽게 심폐소생술(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 담요를 이용하여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키되 환자의 체온이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 만약 정전이 되었다면 손전등을 사용하고 불(양초, 성냥, 라이터)은 누출된 가스가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확인하고 사용합시다.
  • 가스냄새가 나거나 가스 새는 소리가 나면 창문을 열어 놓고 대피하되, 가능하다면 메인밸브를 잠급시다.
  • 가스가 누출되면 가스밸브를 잠근 후, 관계기관[지역 도시가스회사 또는 LPG공급 회사 한국가스안전공사(1544-4500), 119]에 신속히 신고하고 전문가의 조치를 받은 다음 재사용합시다.
  • 전기적인 이상이 있다면 전기 차단기를 내립시다.
  • 수도관에 피해를 입었다면 집으로 들어오는 밸브를 잠급시다.
  • 하수관로의 피해여부를 확인하기 전까지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하지 맙시다.
  • 캐비닛은 물건이 쏟아질 수 있으므로 문은 조심히 열어주세요.
  • 인명의 위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화사용을 자제합시다.
  • 긴급사태 관련 뉴스를 주의 깊게 들읍시다.
  • 거리로 가급적 나가지 않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나가야만 한다면, 지진에 의한 피해(떨어진 전선, 붕괴의 위험이 있는 건물, 축대ㆍ교량ㆍ도로 등)에 주의합시다.
  • 소방관, 경찰관, 구조요원의 도움이 있기 전까지는 피해지역으로 접근하지 맙시다.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안전총괄과 남관모
  • 전화번호 043-850-653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