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서비스헌장이란
홈 >
행정정보 >
행정정보 >
행정서비스헌장 >
행정서비스헌장이란
충주시 행정서비스헌장
행정서비스 헌장의 개념은 행정기관이 제공하는 행정서비스의 기준 및 내용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절차와 방법이며, 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시정 및 보상조치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공표하고, 이의 실천을 국민에게 약속하는 제도이다.외국의 행정서비스 헌장 제도
90년대 초부터 선진국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정부개혁 정책수단으로 도입한 제도로서 국가마다 그 명칭을 달리 사용하고 있다.
국가 | 헌장명칭 |
---|---|
영국 | 시민헌장 (Citizen's Charter, 1991) → Service First programme(1998년 명칭 변경) |
미국 | 고객서비스 기준 (Customer Service Standards, 1993) |
캐나다 | 서비스 기준 정책 (Service Standards Initiative,1994) |
프랑스 | 행정서비스헌장 (Public Service Charter, 1992) |
싱가폴 | 탁월한 행정서비스 (Excellence in Public Service, 1995) |
홍콩 | 시민서비스 (Serving the Community, 1995) |
헌장제 도입배경
- 행정서비스 제공방식을 고객중심으로 전환하여 국민이 일방적인 수혜자가 아닌 적극적 선택권자임을 천명, 고품질 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쟁과 경영 의 원리를 도입.
- 행정서비스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서비스 제공에 따른 부정·부패를 방지하고 모든 국민에게 공정하고 평등한 제공을 약속하여 국민 요구에 대한 대응성 과 책임성을 제고시키기 위함.
헌장 마크의 운명
2001년부터 행정서비스헌장 제정·실천 우수기관에 대한 명예적 인센티브의 일환으로 "행정서비스 헌장마크"(약칭:헌장마크)를 제정·수여함으로써 행정기관 및 공무원에게 명예심을 제고하고 국민에게 헌장제도에 대한 친근감 확산.
재정배경
행정서비스 실천 우수기관·부서의 명예적 증표로 제공
- 헌장 운영기관·부서에 헌장마크를 수여하여 자긍심 제고.
일반국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수단으로 활용
- 헌장제의 목적과 헌장의 내용을 고객인 국민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수단으로 헌장마크 활용.
헌장마크 의미

- 행정서비스 실천 우수기관·부서의 명예적 증표로 제공
- 헌장 운영기관·부서에 헌장마크를 수여하여 자긍심 제고.
- 헌장 운영기관·부서에 헌장마크를 수여하여 자긍심 제고.
- 헌장 운영기관·부서에 헌장마크를 수여하여 자긍심 제고.
- 일반국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수단으로 활용.
- 헌장제의 목적과 헌장의 내용을 고객인 국민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수단으로 헌장마크 활용.
- 헌장제의 목적과 헌장의 내용을 고객인 국민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수단으로 헌장마크 활용.
- 헌장제의 목적과 헌장의 내용을 고객인 국민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수단으로 헌장마크 활용.
- 명칭 : "행정서비스마크" (약칭 : "헌장마크") / 영문표기 : "Public Service Charter"